각종 노폐물이 쌓여 있는 혈액을 체외로 이동시켜 인공신장투석실의 투석기에 넣고 깨끗하게 걸러낸 뒤 체내로 다시 되돌려주는 방식으로 혈액을 맑게 하는 치료법입니다.
주로 말기 신장질환 환자에게 시행되는 방법으로 매주 3회, 매회 4시간 정도로 투석하는 것이 표준적이며 환자 분의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반투과성막(투석막)을 경계로 그 양측에 환자의 혈액과 일정한 성분으로 조성된 투석액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통과시키면서 혈액 내의
노폐물을 농도 차이에 의해 제거하고(확산),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과다한 수분을 제거(한외여과)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반투과성막을 경계로 요독 물질의 농도가 높은 혈액에서
요독 물질이 없는 투석액 쪽으로 요독 물질이 이동
투석막을 경계로 인위적으로 투석기에서 압력을 형성하여
수분을 혈액에서 투석액 쪽으로 이동
투석 효율 증가
빈혈 개선
조혈제 용량 감소
혈압 개선
염증반응 감소
식욕 회복
· 잔여 신장 기능이 정상의 5%가 됐을 경우
· 혈중 크레아티닌치가 100mg/dl가 됐을 경우
· 제한적인 식사요법에 적응을 못하는 경우
· 신체발달이 중요한 소아 또는 청소년의 경우
· 체력 유지를 위한 식단 관리가 중요한 당뇨 환자의 경우
· 신장이식을 고려하고 있는 경우
염증반응을 낮출 수 있습니다.
다양한 혈관 질환의 증상이 완화되며, 예방 효과 또한 얻을 수 있습니다.
신장질환으로 인한 구토 증상과 두통을 완화시켜 줍니다.
생체 적합한 투석막 사용하여 투석 효율을 극대화 하였습니다.
소분자물질 뿐 아니라 인, 중분자 물질 제거에
초점을 맞추어 심혈관 질환 예방과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치료 후 비교적 빠른 일상 복귀가 가능합니다.
정해진 시간에 급격하게 몸 안의 수분을 뺄 때 구토, 식은 땀이 나거나 혈압이 떨어지며 다리에 쥐가 날 수 있습니다.
이때는 혈액 이동 속도를 줄이면서 천천히 투석하게 되면 증상이 회복됩니다.
신부전증에 의하여 조혈기능이 저하되어 혈구 생성이 적을 뿐만 아니라 투석 과정에서 적혈구가 파괴되어 빈혈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빈혈을 방지하기 위해 수혈을 하거나 리스로포이에틴을 주사하고 철분제제를 복용하게 됩니다.
혈액 투석 환자의 사망 원인 중 심혈관계 합병증이 가장 높습니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체중 설정하여
순환혈액량을 조절하고 고혈압을 잘 관리해야 합니다. 투석 중 체중 증가에 주의하며 적절한 식이 요법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당뇨병 환자나 노인 환자, 인공 혈관을 넣은 환자의 동정맥루는 일반적으로 혈전에 의해 자주 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막혔을 때는 수술적 혈전 제거 및 혈관 확장이 우선이며, 막히면 빠른 시간 내에 시행하는 것이 성공 확률이 높습니다.